본문 바로가기
부자가 되자! 제태크

연금저축계좌 예상수익률 챗GPT에게 물어봐

by 파티킴(Party Kim) 2025. 2. 1.
728x90
반응형

 

안녕하세요. 파티킴입니다.

파티킴의 투자 일기 시작할게요~


 

저는 지금 미래에셋 연금저축계좌에  다음 ETF들에 투자하고 있습니다.

 

📌 연금 저축 포트폴리오

1. KODEX 국고채 3년
2. TIGER 미국채 10년선물 (환노출)
3.  TIGER 미국 S&P500
4. TIGER 미국AI빅테크10
5. TIGER S&P 글로벌 헬스케어

 

이렇게 투자하고 있는데요. 

채권 50% 주식 50%을 하려했는데 어쩌다보니 이렇게 되었습니다. 

 

채권 비중:57%
주식 비중:43% 

 


 

📌예상 연평균 수익률은?

 

ETF들의 과거 수익률을 참고하여 예상 연평균 수익률을 계산해봤습니다.

연 평균 수익률을 제대로 계산하는 것이 어려워서

전 그냥 챗GPT 4.0으로 했슴다.

뭐 정확하진 않겠지만 대충 비슷한 것은 같더라구요.

 

챗 GPT에게 제가 고른 펀드, 채권과 그리고 투자 금액을 모두 입력하고

예상 연평균 수익률을 알려달라고 하니

현재 포트폴리오의 예상 연평균 수익률: 약 5.24%이라고 합니다만

저는 개인적으로 이보다 약간 더 높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.
하지만, 보수적인 관점에서 최소 약 5.24 % 를 기준으로 삼기로 했어요.

 


 

💡10년을 투자한다면? 

 

수익률이 5.24%로 낮아 보일 수도 있지만, 장기적으로 복리 효과가 쌓이면

원금보다 더 많은 돈을 받을 수가 있어요.

 

예를 들어, 매월 10만 원씩 10년간 투자한다고 가정하면

💰 총 원금: 1,200만 원
📈 복리 적용 후 예상 자산: 약 1,984만 원
🎯 추가 이익:784만 원 (순수한 복리 효과)

즉, 단순히 적금만 했을 때보다 훨씬 많은 추가 수익이 발생하는 것이죠!

이렇게 꾸준히 투자하다면 안정적인 노후 준비가 가능하겠죠?

 


 

❓  자 그러면 매도는 언제하는 것이냐? 

 

✅ 목표 수익률을 기준으로 

✅ 원래 채권과 ETF 투자 비중 계획과 달라졌을 때

✅ 경제 상황이 크게 변했을 때

 

보통은 이런 상황일 때 매도를 합니다. 

그런데 저는 현재 1년 동안은 매도계획은 없습니다. 

제가 투자한 ETF들은 장기적으로 우상향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거든요.


 

앞으로도 꾸준히 투자하면서 경제 흐름을 보면서 

조정이 필요한지 체크해볼게요!

이상, 파티킴의 투자 일기였습니다! 🚀"""

다음에는 ISA계좌에 담을 종목과

일반 주식계좌에 담을 종목 고민한 것 적어볼게요.

반응형

댓글